서맥 부정맥 | 심장에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심장 박동이 분당 60회 이하로 천천히 뛰는 것을 말합니다.
서맥 부정맥은 어지러움이나 실신이 동반될 수 있으며 중증인 경우 심박동기 삽입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
서맥 부정맥 | |
심장에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심장 박동이 분당 60회 이하로 천천히 뛰는 것을 말합니다.
서맥 부정맥은 어지러움이나 실신이 동반될 수 있으며 중증인 경우 심박동기 삽입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
|
빈맥 부정맥 | 빠른 심장박동으로 자신이 인지하는 가슴 두근거림과 답답함이 느껴질 수 있는 부정맥으로 분당 100회 이상 빠르게 뛰는 것을 말합니다.
병적인 경우 실신, 급성심장사가 발생할 수 있어 전기제세동기 사용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
빈맥 부정맥 | |
빠른 심장박동으로 자신이 인지하는 가슴 두근거림과 답답함이 느껴질 수 있는 부정맥으로 분당 100회 이상 빠르게 뛰는 것을 말합니다.
병적인 경우 실신, 급성심장사가 발생할 수 있어 전기제세동기 사용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
|
심방세동 | 심장의 윗부분인 심방에서 맥이 매우 불규칙하게 발생/전달되어 발생하는 부정맥을 말합니다.
발작성 심방세동, 만성 심방세동이 있습니다. 심방세동은 뇌졸증의 위험인자이기 때문에 만약 심방세동을 의심해볼 수 있는 증상을 조금이라도 느낀적 있다면 조속히 정확한 원인을 파악해봐야 합니다. |
심방세동 | |
심장의 윗부분인 심방에서 맥이 매우 불규칙하게 발생/전달되어 발생하는 부정맥을 말합니다.
발작성 심방세동, 만성 심방세동이 있습니다. 심방세동은 뇌졸증의 위험인자이기 때문에 만약 심방세동을 의심해볼 수 있는 증상을 조금이라도 느낀적 있다면 조속히 정확한 원인을 파악해봐야 합니다. |
항부정맥 약물요법 | 항부정맥 약물 요법이란 항부정맥 약을 투여하여 심장 박동을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만들어 내는 비정상 심장 조직을 억제하여 부정맥을 정상으로 전환시키거나 부정맥이 재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항부정맥 약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부정맥의 종류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사용하는 약제의 종류가 다릅니다. 항부정맥 약은 심장 기능을 억제하고 목숨을 앗아갈 수도 있는 치명적인 악성 부정맥을 유발할 수도 있으므로 부정맥 치료 경험이 많은 부정맥 전문의로부터 처방을 받아야 합니다. |
항부정맥 약물요법 | |
항부정맥 약물 요법이란 항부정맥 약을 투여하여 심장 박동을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만들어 내는 비정상 심장 조직을 억제하여 부정맥을 정상으로 전환시키거나 부정맥이 재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항부정맥 약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부정맥의 종류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사용하는 약제의 종류가 다릅니다. 항부정맥 약은 심장 기능을 억제하고 목숨을 앗아갈 수도 있는 치명적인 악성 부정맥을 유발할 수도 있으므로 부정맥 치료 경험이 많은 부정맥 전문의로부터 처방을 받아야 합니다. |
|
항응고요법 | 항응고요법이란 피가 서로 잘 엉기지 않게 하는 항응고제를 투여하는 것입니다. 심방세동이나 심방조동과 같은 부정맥이 있을 때에는 심방에 피가 고이게 되어 혈전이 생길 위험이 높습니다. 심장 안에 생긴 혈전은 언제든지 예고 없이 떨어져 나와 뇌, 심장, 신장, 소장, 대장, 하지 등으로 가는 동맥을 막아 뇌경색(뇌졸중), 심근경색, 신장 경색, 장간막동맥 경색, 하지 괴사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심방세동이나 심방조동이 있을 때에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혈전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항응고요법을 시행하여야 합니다. 항응고제의 종류에는 와파린과 최근 사용되고 있는 새로운 항응고제가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심장병이 없는 환자는 항혈소판 제제인 아스피린이나 다른 항혈소판제제만 복용해도 됩니다. |
항응고요법 | |
항응고요법이란 피가 서로 잘 엉기지 않게 하는 항응고제를 투여하는 것입니다. 심방세동이나 심방조동과 같은 부정맥이 있을 때에는 심방에 피가 고이게 되어 혈전이 생길 위험이 높습니다. 심장 안에 생긴 혈전은 언제든지 예고 없이 떨어져 나와 뇌, 심장, 신장, 소장, 대장, 하지 등으로 가는 동맥을 막아 뇌경색(뇌졸중), 심근경색, 신장 경색, 장간막동맥 경색, 하지 괴사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심방세동이나 심방조동이 있을 때에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혈전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항응고요법을 시행하여야 합니다. 항응고제의 종류에는 와파린과 최근 사용되고 있는 새로운 항응고제가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심장병이 없는 환자는 항혈소판 제제인 아스피린이나 다른 항혈소판제제만 복용해도 됩니다. |